인플레이션4 홍해 해상운송 차질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 ㅁ [동향]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 해협을 지나는 선박을 공격하고 이를 저지하려는 서방 연합군과의 무력충돌도 점차 격화되면서 홍해-수에즈 운하를 이용한 글로벌 해상운송에 차질이 지속 ㅁ [전망] 홍해 해상운송 차질이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, 중동분쟁 확대에 따른 에너지 가격 급등 위험은 여전히 잠재 ㅁ [시사점] 최근의 홍해 해상운송 차질 및 비용 상승 영향에도 불구하고 금년 중 주요국 디스인플레이션 지속 및 이에 따른 통화정책 기조 전환이 예상. 다만, 중동사태 장기화 또는 급격한 확산으로 원유 공급차질 및 국제유가 급등이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재연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에 유의할 필요 Inflation impact due to.. 2024. 1. 17. ['24.01.10] 국제금융속보 国際的な財政ブレイキングニュース [1.11] 미국 뉴욕 연은 총재,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 등 ■ 주요 뉴스: 미국 뉴욕 연은 총재,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 ○ 미국 증권거래위원회, 11개의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을 승인 ○ ECB 부총재, 유로존은 경기침체에 이미 진입했을 가능성. 당분간 부진 국면 지속 전망 ○ 일본`23년 11월 임금상승률, 전월비 둔화. 통화정책 정상화 지연될 가능성 ■ 국제금융시장: 미국은 인플레이션 전망, 빅테크 주식 매수 증가 등이 영향 주가 상승[+0.6%], 달러화 약세[-0.2%], 금리 상승[+2bp] ○ 주가: 미국 S&P500지수는 Meta 등 빅테크 중심으로 매수세 강화되며 상승 유로 Stoxx600지수는 광업 관련주 매도 증가 등으로 0.. 2024. 1. 11. 국제금융이슈('22.08.21) [연준 정책금리] 정책금리 추가 상승폭, 고점 시기 등에 대한 전망 스펙트럼 확대 ▣ 지난주 불라드, 달리 등 연은총재들이 잇따라 강도높은 통화긴축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, 월가에서는 정책금리의 추가 상승 수준, 정책금리 고점 시기 등에 대한 논란이 확대 – 불라드는 연말 정책금리 수준을 3.75~4.00%로 발언. 불라드와 달리는 내년 금리인하에 대해 “시기상조”, “인상 후 관망 선호” 발언을 통해 시장 기대를 불식시키려 노력 ▣ 이러한 발언이 시중금리 상승에 기여했으나, 실제 선물시장에 반영된 정책금리는 내년 3월 3.50 ~3.75%로 이보다 낮으며, 3월 또는 6월 이후 금리인하 가능성을 제기 ▣ 또한 지난주 Bianco는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이어가 대다수가 생각하는 수준보다 더욱 높은.. 2022. 8. 22.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후속대응 방안 ■ 주요 뉴스: 미국 연준 월러 이사, 향후 수차례의 0.5%p 금리인상을 지지 빅스텝 이후 하반기는 0.25% 인상으로 넘거가지 않을까. ㅇ EU 정상회의, 부분적인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합의. 헝가리 등은 원유수입 가능 ㅇ 독일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, 사상 최고치. ECB의 긴축강화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 유럽 중 러/우 전쟁으로 물가상승리스크가 가장 높은 국가. 독일의 물가방어 실패는 곧 유럽 전체 경기침체로 파급 클 것임 ㅇ 중국 상하이시, 예정대로 6/1일 경제봉쇄 해제를 시작할 계획 ■ 국제금융시장: 유럽은 중국 경제봉쇄 해제 기대 등이 영향 유럽 주가 상승[+0.6%], 달러화 약세[-0.3%], 독일 금리 상승[+9bp] ㅇ 주가: 미국 증시는 메모리얼 데이로 휴장 유로 Stoxx600.. 2022. 5. 31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