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금융3 잭슨홀 회의 미국 통화금융정책 영향 예상 ㅁ [이슈] 파월 의장의 잭슨홀 회의 연설 내용을 평가하고 향후 통화정책과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 ㅁ [파월 의장의 시각] 8.26일 약 8분간 지속된 잭슨홀 회의 기조 강연에서 물가안정 중시 기조를 재확인하고 '완화적 기조로의 조기 전환은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'함으로써 금리인상이 종결되더라도 긴축적 수준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임을 시사 ㅇ (조기에 완화적 기조로의 전환은 경계할 필요) `70년대의 역사적 사례를 감안할 때 적절한 시기보다 앞서 통화정책을 완화하는 것은 오류(The historical record cautions strongly against prematurely loosening policy.) ㅇ (포워드가이던스) 언젠가는(at some point) 통화긴축 강도의 완화가 적절한 .. 2022. 8. 29. 국제금융이슈('22.08.25) ■ 주요 뉴스: 미국 주요 국채금리, 잭슨 홀 미팅 경계감 등으로 상승 지속. 이후 방향은 불투명 ㅇ 미국 7월 내구재 수주, 전월비 보합. 기업설비 투자는 증가세 둔화 ㅇ 독일 연구기관 DIW, 러-우 전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’25년까지 지속 전망 ㅇ 중국 외환당국, 일부 은행의 공격적인 위안화 매도 행위에 경고 ☞ 잭슨홀미팅시 인플레안정위한 금리기조 바뀔게 있나, 기조를 재확인하는 수준일텐데 큰 변수 없지 싶음 러/우 전쟁 영향은 생각보다 크네, 휴전이 먼저, 재건이 다음, 식량난, 가스난은 가중될듯 페그제를 운영하는 중국이 은행권 압박 ■ 국제금융시장: 미국은 잭슨 홀 미팅 앞두고 연준의 통화긴축 지속 전망 등이 영향 주가 상승[+0.3%], 달러화 약보합[-0.0%], 금리 상승[+6bp] .. 2022. 8. 25. 국제금융이슈('22.08.21) [연준 정책금리] 정책금리 추가 상승폭, 고점 시기 등에 대한 전망 스펙트럼 확대 ▣ 지난주 불라드, 달리 등 연은총재들이 잇따라 강도높은 통화긴축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, 월가에서는 정책금리의 추가 상승 수준, 정책금리 고점 시기 등에 대한 논란이 확대 – 불라드는 연말 정책금리 수준을 3.75~4.00%로 발언. 불라드와 달리는 내년 금리인하에 대해 “시기상조”, “인상 후 관망 선호” 발언을 통해 시장 기대를 불식시키려 노력 ▣ 이러한 발언이 시중금리 상승에 기여했으나, 실제 선물시장에 반영된 정책금리는 내년 3월 3.50 ~3.75%로 이보다 낮으며, 3월 또는 6월 이후 금리인하 가능성을 제기 ▣ 또한 지난주 Bianco는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이어가 대다수가 생각하는 수준보다 더욱 높은.. 2022. 8. 22. 이전 1 다음